천년고찰 은해사 괘불탱 관람 포인트 5가지



천년고찰 은해사 괘불탱 관람 포인트 5가지에 대하여 탐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모두 읽으면 은해사 거조사영산전 및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을 알게 되실 것입니다. 은해사 괘불탱 관람 포인트 5가지의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세요.



은해사는 동화사와 더불어 팔공산을 대표하는 절이며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31본산의 하나였고 경북 지역의 대표적인 사찰이며 조계종에서도 제10교구 본사로 50여 개의 말사를 총괄합니다. 

대표적인 말사로는 일명 갓바위로 유명한 선본사, 영산전과 오백나한으로 유명한 거조사, 경산시 하양의 환성사 등이 있습니다.

1. 은해사



천년고찰 은해사는 조선 31본산, 경북 5대 본산,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의 자리를 지키는 경북지방의 대표적 사찰입니다.

신라 41대 헌덕왕 1년(809년) 혜철국사가 해안평에 창건한 사찰이 해안사인데이 해안사로부터 은해사의 역사가 시작됩니다. 

현존하는 암자만도 여덟 개가 있고 말사 숫자가 50여 개에 이르고 한국 불교의 강백들을 양성, 교육하는종립 은해사 승가대학원이 있는 사찰이기도 합니다.

불, 보살, 나한 등이 중중무진으로 계신 것처럼 웅장한 모습이 마치 은빛 바다가 춤추는 극락정토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 은해사입니다.

2. 은해사 괘불탱



영천 은해사 괘불탱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은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며 대한민국의 보물 제127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괘불의 불 좌우로 대칭되게 장식을 넣어 자칫 단조로워지기 쉬운 화면을 조화롭게 나타내었고 둥근 얼굴에는 부드러운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화면 윗부분의 양쪽에는 새와 덮개 장식이 있고 중앙부의 양쪽으로는 모란이 배치되어 있어 불세계의 평화스러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황토바탕에 붉은색과 녹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필치가 매우 정밀하면서도 세련되어 활기찬 인상을 줍니다.

3. 영천 은해사 거조사영산전



영천 거조사 영산전은 경상북도 영천시 거조사에 있는, 고려 시대에 지어진 불교 건축물입니다.

영산전이 있는 거조사는 신라 효성왕 2년 원참조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하고 혹은 경덕왕 때 건립되었다고도 합니다. 

이후, 은해사의 말사로 편입되면서 거조암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하지만 2021년 3월 23일 문화재청이 다시 거조암을 거조사로 명칭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거조사는 팔공산 동쪽 기슭에 위치하며, 아미타불이 항상 머문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4.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천년고찰 은해사 백흥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입니다.

조선 명종 1년(1546) 인종의 태실을 팔공산에 모시게 되자 백흥암을 수호사찰로 정하고 크게 고쳤다고 한다.

극락세계를 상징하는 아미타삼존불을 모시고 있는 극락전은 인조 21년(1643)에 지은 것으로 지금 있는 건물은 그 뒤로 여러 차례 수리한 것입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조선시대의 옛 수법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5.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천년고찰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에 있는 높이 125cm, 너비 413cm의 조선 후기에 만든 불단입니다.

수미단이란 절의 법당 정면에 상상의 산인 수미산 형태의 단을 쌓고 그 위에 불상을 모시던 대좌를 말합니다.

앞쪽 면은 5단으로 되어 있으며, 각 단도 5등분 되어 각각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고 제일 위의 단은 안상문을 도드라지게 조각하였습니다. 

조각기법도 매우 우수하고 이런 특징이 있는 불단은 조선 후기 작품으로 더러 남아 있지만, 이 불단은 그 중에서도 대표되는 작품입니다.

5.1 영천 은해사 수목장



천년고찰 은해사 수목장은 시신을 화장한 뒤 골분을 한지에 싸서 지정된 나무 앞에 땅을 30㎝ 정도 파고 묻는 간단한 방식입니다.

친환경 장묘라는 취지에서 비석도 세우지 않고 나무에 길이 10㎝ 정도의 작은 명패만 걸어 놓고 원래 있던 소나무 숲을 활용합니다.

은해사 관계자는 매장의 대안으로 이용되는 납골당이 지나치게 호화롭거나 오히려 환경을 해친다는 지적이 높은 가운데 수목장은,

장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며 특히 시신이 나무의 영양분이 돼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5.2 영천 가볼만한 곳



영천은 경상북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1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중인 영천 가볼만한곳 베스트 10을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별별미술마을은 평범하던 농촌마을이 지붕없는 미술관으로 바뀐 곳입니다. 영천 별빛마을은 영천보현산별빛축제의 무대가 되는 곳입니다.

돌할매공원은 돌할매를 찾아오는 사람들의 발길이 늘고 있는 곳입니다. 메모리얼파크는 호국안보교육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곳입니다.

임고서원은 고려 말기의 충신 정몽주를 추모하기 위해 만든 서원입니다. 만불사는 영천 만불산 천년고찰 만불사는 가장 많은 부처님이 모셔진 사찰입니다.

거조암은 은해사의 한 암자인데 직선거리로 4km가량 떨어져 있는 곳입니다. 보현산 천문대는 우리나라 3대 천문관측소 중 하나입니다.

최무선 과학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화약을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해전에서 화포를 사용했습니다. 치산캠핑장은 영남에서 최대 규모의 캐라반 캠핑장 입니다.

5.3 영천 맛집



단백질 보충을 위해 방문한 경북 영천 맛집 강남한우식육식당은 한우와 육회 종류가 유명한건 너무 유명합니다.

간판에서부터 유명한 영천 소 그림이 그려져 있고 매장 입구로 들어가면 입구에서 바로 메뉴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메뉴를 대충 눈으로 훑어보고 내부로 입장한 강남한우식육식당 전체적으로 우드톤의 깔끔한 인테리어였습니다.

​경북 영천 맛집 답게 영천 특산물 마늘로 숙성한 한우집은 갈비살, 꽃등심, 특안심, 특수부위, 모듬 등 다양하게 주문 가능합니다.

경북 영천 맛집 은해사 맛집은 숯불에 준비가 되고 아예 고기 굽는 통 자체를 가지고 와서 먹고 나면 또 통째로 사라지나봐요?

너무 바싹 익힌 것 같지만 그래도 전혀 질기지가 않았어요. 그냥 살살 녹으면서 육즙 터지는 찐 맛집이었습니다.

본연의 맛을 느껴보려고 처음엔 소금에만 아주 살짝 찍어서 먹었는데 찐한 육향이 느껴지면서 너무 맛있어서 놀람입니다.

입에 넣으면 즉시 사라져버리는 부드러운 육질의 강남한우식육식당 영천 소고기 맛집 중에서 유명할만 합니다.

[영천맛집] 강남한우식육식당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금호로 119, 시간 11:00 – 21:00, 전화 054-331-6641입니다.

5.4 영천 은해사 가는 길



서울경부 영천가는 고속버스 시간표 >첫차 시간표 : 7시 30분 출발 ~ 11시 도착, 막차 시간표 : 18시 50분 출발 ~ 22시 30분 도착입니다.

영천까지 소요시간 : 3시간 25분 소요되며 고속버스 배차간격 : 하루 4편 운행하며 영천까지 거리 : 287.5킬로미터 입니다.

시내버스 220번 >영천버스터미널 – 금노동 – 영천농협 – 영천공설시장 – 영천시청 – 영천여중 – 북영천역 – 호당리 – 삼부리 – 

우천삼거리 – 보성농공단지 – 청통초교 – 치일2리 – 청통네거리 – 애련입구 – 치일리 – 천년고찰 은해사 입니다.

시내버스 220-1번 >영천버스터미널 – 금노동 – 영천농협 – 영천공설시장 – 영천시청 – 영천여중 – 북영천역 – 호당리 – 삼부리 – 우천삼거리 – 보성농공단지 – 

청통초교 – 치일2리 – 청통네거리 – 애련입구 – (← 애련동회관 ← 봉계.애련1리종점 ← 애련동회관 ← 애련입구 ←) – 치일리 – 은해사 입니다.

>추가적으로 읽으시면 도움이 되는 포스트

천년고찰 익산 미륵사지 석탑 관람 포인트 6가지
천년고찰 및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관람 포인트 5가지
천년고찰 용문사 명부전 관람 포인트 6가지

지금까지 천년고찰 은해사 괘불탱 관람 포인트 5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아래의 글 영천 은해사 가는 길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