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고찰 보원사 오층석탑 관람 포인트 7가지



천년고찰 보원사 오층석탑 관람 포인트 7가지에 대해 탐구하겠습니다. 이 포스트를 전체적으로 읽으시면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및 보원사 당간지ㄹ주를 알아두시는 데에 좋을 것입니다. 보원사 오층석탑 관람 포인트 7가지의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전체 다 읽어주세요.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에 자리한 보원사지는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이르는 불교 유물이 발견된 곳입니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나 백제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어 아우르는 세월이 천년을 뛰어넘으며 한때 사찰에 머문 승려가 천 명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사찰의 규모를 짐작케 하는 4m 높이의 당간지주와 오층석탑, 석조, 법인국사 보승탑과 보승비가 모두 보물로 지정되었을 정도로 그 가치가 큽니다. 

1. 보원사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에 있었던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이며 조선시대에는 강당사라고도 불렸습니다.

이 천년고찰은 백제시대 이래의 고찰임에도 불구하고 그 역사를 알 수 있는 사지나 사적기등의 문헌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창건연대는 이 사지(寺址)에서 출토된 금동여래입상이 6C중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아마 6C중엽에 창건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사지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서산마애삼존불이 백제의 대표적 불교조각이라는 점입니다.

당시 서산 지역이 중국과의 중요한 교통로였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정해볼 뿐입니다.

2. 보원사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천년고찰 보원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오층석탑 입니다.

고려 초기의 탑파 양식을 보여주며, 높이가 9m나 되는 큰 탑으로 하성 기단의 각 면에 사자 모양을 새겨져 있습니다.

상성 기단의 각 면에는 팔부신중을 새겨 신라 말기 석탑의 수법을 보여주며 한편 얇고 길게 뻗은 처마가 백제의 전통을 따르고 있어 매우 특이합니다.

보원사 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며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3.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천년고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보원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법인국사 탄문을 기리는 탑입니다.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가 함께 있으며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탑은 보원사터에 세워져있는 사리탑으로, 법인국사 탄문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으며 광종 19년에 왕사, 974년에 국사가 되었습니다.

그 이듬해 이 곳 보원사에서 입적하였고 978년에 왕이 법인이라 시호를 내리고 보승이라는 사리탑의 이름을 내렸습니다.

4.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천년고찰 보원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의 당간지주입니다.

절에서는 기도나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합니다.

이곳은 옛 절터로, 지금은 주변이 모두 경작지로 변하였는데, 땅을 갈 때 가끔 기와조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양식과 조각수법이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발달된 모습이어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고려 초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5. 서산 보원사지 석조



천년고찰 보원사지 석조은 충청남도 서산시, 보원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입니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팔각형·장방형 등이 있으며 이 석조는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입니다. 

조각수법이 소박하면서도 약 4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커 웅장한 느낌을 주는데 이를 통해 당시 사찰의 규모를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5.1 서산 보원사지 철조여래좌상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서산 천년고찰 보원사지에서 출토된 고려 시대 철조 여래 좌상입니다.

보원사지 출토 고려시대 철조여래좌상은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의 서산 보원사지에서 1918년 3월에 조선총독부 박물관으로 옮겼습니다.

반출 직후 경복궁 근정 회랑에 봉안되었다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불교 전시실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고려 때인 11세기에 조성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보원사 법인국사 보승탑비에 950년 법인국사가 발원해 석가 삼존 금상을 봉안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5.2 서산 가볼만한곳



자연이 안겨주는 포근한 정취에는 옛정취가 묻어 있어 트래킹하기 더 없이 좋은 장소 서산 가볼만한 곳 베스트 10을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황금산은 해발 156m로 높지 않은 산이지만 바다를감상할 수 있습니다. 웅도는 곰과 같이 생겼다 해서 웅도, 대산읍의 7개 도서 중 유일한 유인도 입니다.

서산 용현자연휴양림은 숲길 체험을 해보고 힐링의 시간을 누려보세요. 아라메길은 바다와 산이 있는 길이라는 이름으로 멋진 길이 가득합니다.

신창저수지는 마치 알프스 목장 같고 그 안으로 들어가 걸어보고 싶은 곳입니다. 해미읍성은 우리나라 최대 천추교 순교성지 최고의 장소입니다.

 개심사는 봄이면 겹벚꽃과 청벚꽃으로 꽃잔치가 벌어지는 곳입니다. 유기방 가옥은 만개한 노란 수선화 물결로 가득한 설렘이 있는 곳입니다.

서산버드랜드는 철새도래지인 서산천수만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곳입니다. 간월암은 바닷물이 들어오는 만조가 되면 섬이 되는 암자입니다.

5.3 서산 보원사지 맛집



서산한우맛집 소뜰은 1층은 정육점 2층은 식당 보통 정육식당은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팔거나 사서 바로 먹을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춘 장소입니다.

정육식당의 형태가 사실 은 원해 정육점이 하던 기능이고 오래전 백정을 일컫는 표현으로 푸줏간에서 정육점으로 바뀌었지요.

요즘은 정육정도 도축을 하지 않고 도매로 받아 소매만을 전문으로 하는 식품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소꼬리랑 차돌박이도 판매하고 있었는데요, 소고기랑 같이 먹으면 맛있는 야채모듬도 판매하고 있었어요.

​어떤걸 먹을까 고민하다 다양하게 먹고 싶어 한우모듬과 야채모듬을 사서 2층으로 올라가는데 벽면에 연예인들 싸인이 있네요.

그리고 단체손님들을 위한 룸도 있어서 굿굿!! 저희는 미리 예약하고 가서 편하게 룸에 앉을 수 있었습니다.

​1인당 상차림비 5000원이고요, 7세 이하는 무료라 첫눈이는 무료였어요. 소뜰은 셀프바가 아주 잘 되어있더라고요.

[서산맛집] 소뜰소고기구이 >충남서산시 동서 1로 133, 시간 11:30~22:00, 전화 041-665-9665 입니다.

5.4 서산 보원사지 가는 길



서울에서 서산가는 고속버스 시간표 >첫차 시간 : 6시 5분 ~ 7시 55분 도착, 막차 시간 : 21시 50분 ~ 23시 40분 도착입니다.

서산까지 거리 : 127.6 킬로미터로 서산까지 걸리는 시간 : 110분 소요되며 고속버스 배차간격 : 하루 45번 운행합니다.

서산버스터미널에서 운산행 버스(운산면 승강장에서 하차 후 시내버스 이용) 10-15분간격으로 운행되며, 30-40분 소요됩니다.

서해안고속도로 서산I.C. → 32번국도 → 운산 → 고풍리 → 마애삼존불 → 용현계곡, 천년고찰 보원사지 → 가야산 입니다.

경부고속도로 천안I.C. → 아산 → 예산 → 45번국도 → 덕산 → 운산(원평리) → 618번지방도 → 고풍리 → 마애삼존불 → 용현계곡, 보원사지 → 가야산 입니다.

>추가적으로 읽으시면 도움이 될 문서

천년고찰 낙산사 칠층석탑 관람 포인트 6가지
천년고찰 옥천사 대웅전 관람 포인트 7가지
천년고찰 광덕사 고려사경 관람 포인트 5가지

오늘은 천년고찰 보원사 오층석탑 관람 포인트 7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아래의 글 서산 보원사 가는 길을 참고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