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고찰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관람 포인트 5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내용을 모두 읽어주신 분들은 회암사지 사리탑 및 회암사지 선각왕사비를 알게 될 겁니다.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관람 포인트 6가지가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세요. 아래의 포스트로 알아봅시다.
회암사는 경기도 양주시 천보산에 위치했던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 봉선사의 말사입니다.
숭유억불 정책을 추진한 조선왕조에서도 왕과 왕후들의 비호를 받으며 조선의 왕사라고 불렸던 조선 최대의 절이었습니다.
행궁으로도 기능했으므로 그 모습이 궁궐 건축에 가까웠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 폐사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습니다.
1. 회암사지
양주 천년고찰 회암사지는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의 서남 기슭에 인도의 승려 지공이 처음 지었다는 회암사가 있던 자리입니다.
1964년 사적 지정 당시 문화재 명칭은 회암사지였으나 지역명 병기 및 한글맞춤법을 적용하여 2011년 7월 28일 양주 회암사지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고려 충숙왕 15년(1328) 원나라를 통해 들어온 인도의 승려 지공이 처음 지었다는 회암사가 있던 자리입니다.
이 사찰은 평지에 있는 절에서 볼 수 있는 남회랑을 만든 점에서 고려시대의 궁궐이나 사찰 배치형식을 보이고 있는 것이 주목됩니다.
2.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은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년고찰 회암사지 북쪽 능선 위에 지공, 나옹의 승탑과 함께 서있는 무학대사의 묘탑입니다.
1963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88호로 지정되었고 회암사는 고려 충숙왕때 지공이 창건하여 조선 순조 때인 1800년대에 폐사된 사찰입니다.
조선 전기 왕실의 보호를 받던 절로서 태조 이성계가 늙은 후에 머무르면서 수도하던 곳으로도 유명합니다.
절터의 북쪽 능선 위에 지공, 나옹의 승탑과 함께 서있는 이 탑은 무학대사의 묘탑으로 둘레에는 탑을 보호하기 위한 난간이 둘러져 있습니다.
3.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천년고찰 회암사지 선각왕사비는 고려시대의 석비으로 1963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8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고려말의 승려인 나옹화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며 비문의 글은 이색이 짓고, 글씨는 권중화가 쓴 것입니다.
1997년 보호각이 불에 타 비의 몸돌이 파손되었고 보존 처리 후 2013년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 눕혀진 채로 보관되어 있습니다.
비가 있었던 원래의 자리에는 받침돌인 귀부가 남아 있으며, 원형을 본따 만든 비가 세워져 있고 나옹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4.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은 경기도 양주시 천년고찰 회암사지에 있는 승탑으로 조선 전기 왕실에서 발원하여 건립한 진신사리탑입니다.
보존 상태도 양호하며, 사리탑의 형식과 불교 미술의 도상, 장식 문양 등 왕실 불교 미술의 여러 요소를 알 수 있는 귀중한 탑입니다.
2021년 6월 24일에는 고유의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 2130호로 승격되었고 이 탑에 봉안된 사리의 주인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없었습니다.
발굴 조사와 탑의 입지, 기록 등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석가모니 진신사리가 봉안되었던 불탑임이 알려졌습니다.
5. 양주 회암사지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물
양주 회암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물은 경기도 양주시 천년고찰 회암사 영성전에 봉안되어 있습니다.
2007년 9월 3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206호로 지정되었고 아미타불 목조여래좌상은 현재 회암사 영성전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목조의 좌상에 금박을 입힌 형태로 높이52・몸통 폭28・하단부37cm이며 둘레는 머리40・모통73・좌대117cm입니다
불상복장유물을 통해 건륭20년(1755년) 3월경 제작되어 창평용흥사에 시주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후 회암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5.1 양주 회암사지 공선사부도비
양주 천년고찰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는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양주 회암사지에 있는 부도비입니다.
2004년 11월 29일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135호로 지정되었고 지공선사의 부도 앞에 있는 이 부도비는 지공선사의 유래를 기록한 비입니다.
현재 남아있는 부도비의 건립연대는 ‘숭정기원후사무자오월 일립’으로 기록되어 있어, 1828년(순조 28년)에 중건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부도비 옆에는 비의 귀부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이 원래 지공선사 부도비의 귀부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관련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5.2 양주 가볼만한곳
양주시는 서울과 인접하고 한강연안에 위치하고 있어 항상 국토의 중요한 요충지로 양주 가볼만한 곳 베스트 10을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양주 두리랜드는 30여 종의 놀이시설과 야외수영장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아세안자연휴양림은 문화체험과 숲체험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나리공원은 붉은 천만송이 천일홍으로 레드카페가 깔린 양주 공입니다. 일영허브랜드는 허브식물원과 허브 힐링센터 산책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송추계곡은 소나무(松)와 가래나무(楸)가 많은 계곡이라 하여 송추입니다.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은 미술작품과 자료를 전시, 연구, 수집을 한곳입니다.
청암민속박물관은 야생식물원과 박물관 그리고 체험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나아트파크는 작가들의 창작 공간, 창작과 전시공간 입니다.
양주관아지는 1506년부터 1922년까지 양주목의 관청이 있던 곳입니다. 필룩스조명박물관은 인간의 조명문화를 널리 소개하기 위해 설립된 곳입니다.
5.3 양주맛집
양주 고암동에 있는 한우 맛집인 누렁이 한우마을 정육점 식당은 들어갈 때 입간판에 쓰인 안내문을 보니 더 신뢰가 되었습니다.
고기 중량이 표시한 중량보다 많고, 부위를 속여서 판매하지 않고, 연육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말이었습니다.
들어가 보니 이렇게 고기들이 보관되어 있었습니다. 국내산 한우만 사용하니 더 신선하고 맛있을 것 같습니다.
고기 질이 참 좋아 보였고 정육점 식당인 만큼 고기를 따로 사갈 수도 있지만 신선한 고기를 바로 구워 먹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고기 가격과 메뉴입니다. 고기를 먹을 때는 상차림 비용이 대인 기준으로 3,000원, 소인 기준으로 1,000원 적용됩니다.
숯불에 구워 먹으니 더 맛있더라고요. 반찬은 이렇게 김치와 양파절임, 파채, 샐러드, 궁채무침, 된장찌개, 파인애플이 나왔습니다.
먼저 누렁이 모둠을 올려서 구워보았고 또 갈빗살도 올려서 같이 구웠는데요. 숯불이라 고기가 정말 잘 구워졌습니다.
식감도 참 부드럽고 쫄깃쫄깃하더라고요. 양파절임이나 파채 등 다른 반찬들이랑곁들여 먹어도 찰떡이고 너무 좋았습니다.
[양주맛집] 누렁이 한우마을 정육점식당 >경기도 양주시 청담로 270-3 1동, 시간 11:00-22:00, 전화 031-928-5527입니다.
5.4 양주 회암사지 가는 길
1101번버스 상세 노선은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 숭례문 – 명동입구- 우리은행 종로지점 – 종로2가 – 혜화경, 마로니에공원 – 도봉산역 –
의정부민락 – 유승한내들9단지 – 덕현초교 – 옥정마을 – 푸르지오 , 경기교통공사 – 회암2동 마을회관 – 덕정주공 – 덕정역 입니다.
구리포천 고속도로 → 동두천, 양주 방면 진입 → 옥정 톨게이트 진출 → 옥정지구 방면 좌회전 → 200미터 직진 후 우회전 → 천년고찰 회암사 도착입니다.
주차장은 일주문을 지나 법당쪽으로 올라오시면, 차들이 세워진 곳에 주차하시면 되며 셔틀버스는 주말에만 가능합니다.
지하철 및 버스 환승시 >1호선 덕정역 하차 – 78번 환승 – 회암사지 정류장 하차(약 10분 소요)하시면 됩니다.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길 281, (구)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4, 1호선 양주역 하차 – 90번 환승 – 회암사지 주차장 하차(약 30분 소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글
-[천년고찰 용문사 명부전 관람 포인트 6가지
–천년고찰 보원사 오층석탑 관람 포인트 7가지
–천년고찰 낙산사 칠층석탑 관람 포인트 6가지
지금까지 천년고찰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관람 포인트 6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게 있다면 아래의 글 양주 회암사지 가는 길을 참고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