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찰 운주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



전통사찰 및 운주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에 대하여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내용을 모두 읽어주시면 운주사 전불천탑 및 운주사 칠성바위를 알게 될 겁니다. 운주사 와불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의 정보가 필요하시면 모두 읽어주세요. 아래에서 모두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에 있는 사찰로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의 말사입니다. 운주사라고도 합니다.

화순 운주사

​도선대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운주가 지었다는 설, 마고할머니가 지었다는 설이 전해지는데 도선창 건설이 가장 유명합니다.

​현대에 와서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운주사와 같은 절은 전례가 없기 때문에 드물기로 특이합니다.

​1. 운주사 역사



​운주사는 신라 말 도선국사가 지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도선국사가 풍수지리설에 따라 이곳의 지형이 선상으로 되어 있어,

화순 운주사

​배의 돛대와 사공을 상징하는 불상 천상과 탑 천 개를 세웠다 하여 일명 천불천탑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문헌상에 전해진 사료에는 아직 이 점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릉성현조에,

​운주사 재천불천탑지좌우산배석불탑명 일천비석실이석불상이좌라는 기록이 있어 현존하는 석불석탑의 유래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2. 운주사 천불천탑



​구름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의 화순 전통사찰 운주사는 다양한 형태의 탑과 불상이 많기로 유명한 사찰입니다.

화순운주사 천불석탑

​사적 제312호로 지정된 이곳은 천불천탑의 성지라는 명성에 걸맞게 사찰 입구에서 주변 산까지 눈이 닿는 곳에 이형탑과 불상이 세워져 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말기 도선국사(827~898)가 낮과 밤 사이에 1000개의 탑과 1000개의 불상을 조성했다고 합니다.

​조선 초기까지 이곳에 1000여 구의 불상과 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는 18개의 탑과 70분의 불상만이 남아있습니다.

​3. 운주사 와불



​전통사찰 운주사 계곡 정상에 있는 석불 2구로 각각 12.7m, 10.3m 크기로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고 누워 있는 형태입니다.

화순 운주사, 와불이 서는 날 민중 세상이 온다

​운주사를 창건한 도선국사가 천불천탑을 세운 뒤 기와불을 마지막으로 피우려 했는데 새벽에 닭이 울고 누워있는 형상으로 만들었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국내 와불 가운데 최대 규모의 석불이다. 이는 열반상과는 달리 좌불과 입상으로 자연석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화순 운주사, 와불이 서는 날 민중 세상이 온다

​좌불 옆을 흐르는 감로수에 지나가는 세속인들이 목을 축이고 있다. 무한히 흐르는 물이 아까워서 자꾸 뒤를 돌아봅니다.

​이렇게 좌불과 입상의 형태로 누워있는 부처님은 우주에 하나뿐인 존재라는 뜻입니다.

​4. 운주사 칠성바위



​운주사는 계곡에 수많은 석불과 석탑이 몰려 있다는 점과 토속적 조형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신비로운 장소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운주사 칠성바위 - 화순[62]

이처럼 운주사는 매우 신비로운 사찰이기 때문에 석탑의 건립 배경과 건립 연대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양식적으로 볼 때 전통사찰 운주사 석탑은 대부분 고려 중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판단됩니다.

화순군 운주사 여유롭게 감상하기~

​운주사 석탑에서 나타나는 다양성과 무정제성을 보고 건립 연대를 낮출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통일신라석탑이 보여준 정형적 감각은 사라지고 약간의 무계획적이고 거칠고 무작위적인 기법들이 운주사석탑에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5. 운주사 대웅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의 만산골에 있으며, 원명은 운운과 머무는 주인 운주사라 불렀으며 천불천탑이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화순운주사대웅전앞다층석탑,대웅전,운주사,건축,건물,종교,불교,한옥,기와집,천불산,산,풍경,전경,실외,나무,숲,화순군,전남,한국,국내여행,

​더 유명한 절로 도선국사(827~898)가 통일신라 51대 진성여왕 말엽에 창건했습니다.

​지리풍수설에 우리나라가 그대로 방치하면 일본으로 흘러갈 우려가 있어 이를 막기 위해 사찰 주변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남아있는 운주사 대웅전입니다.

​5.1 운주사 석조 불감



​불감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들어진 집이나 방을 말하며,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는 그 규모가 작습니다.

화순 "운주사" - 천불천탑이 모셔진 신비의 사찰 (feat. 와불, 구층석탑 & 석조불감)

​다탑봉 골짜기에 위치한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산 정상에 이르는 동안 여러 기의 석탑과 불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거대한 석조불감을 만든 류를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고, 등을 맞춘 감실 안의 두 불상도 희귀한 형식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5.2 운주사 운주사지



​도선국사가 하루아침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남아있는 운주사는 낮은 야산분지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입니다.

화순 운주사지 (和順 雲住寺址)

​전통사찰 운주사절를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 중기부터 말기까지 매우 번성했던 사찰로 보입니다.

​15세기 후반에 다시 지어졌고 정유소의 재란으로 폐쇄되었다가 운주사는 구름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이 있으며, 배를 움직인다는 뜻의 운주사로 불리기도 합니다.

​5.3 운주사 원형 다보석탑



​운주사에는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도선국사가 우리나라 지형을 배로 보고 배 한가운데에 해당하는 호남 땅이 영남 땅보다,

[休]하늘 보며 명상 잠긴 듯..천불산 기슭에 누운 부처 '삶의 번뇌' 씻다

​산이 적고 배가 한쪽으로 쏠릴 것을 우려해 1000개의 불상과 1000개의 탑을 밤새 도력으로 만들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재 절에는 탑 18기, 불상 70구가 남아있는데요,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보물) 앞에 위치한 이 탑도 그 중 하나입니다.

​5.4 운주사 맛집



​전통사찰 운주사로 가는 도야나기야 식당입니다. 과거 버드나무가 많아 버드나무 집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전남 화순운주사맛집 황칠백숙전문점 버드나무집에서 맛있는식사

버드나무집은 도암으로도 유명한 맛집으로 식객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으며, 아구찜, 닭백숙, 닭도리탕 등 손님들의 맛있는 식사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청계계, 기러기 등 시중에서 보기 드문 식재료 등을 사육해 손님의 입맛에 맞게 음식을 내놓고 한끼상’을 해결할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문의 :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1번지 061) 374-7849

​5.5 운주사 가는 길



​화순 교통의 218번이나 318번 중 중장터, 행산 혹은 내리까지 운행하는 노선 계통이 주차장 앞을 경유합니다.

[펌] 운주사 가는길

​218번은 배차가 자주 있는 편이지만 화순읍내와 능주까지 돌아오는 것이 단점이고, 318번은 도곡온천에 일찍 오지만 배차가 적은 것이 단점입니다.

​218번, 대초리 등광리행도 전통사찰 운주사 앞은 지나지만 주차장 정류장은 지나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금호고속에서 운영하는 남도일주라는 관광코스 중 하나에 포함된다. 시즌마다 코스가 달라지므로 홈페이지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같이 읽을만한 유용한 포스트

역사사찰 법주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8가지

역사사찰 범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

전통사찰 전등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9가지

오늘은 전통사찰 및 운주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게 있다면 아래의 글 운주사 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