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찰 실상사 유적지 극락전 관람 포인트 7가지를 전달해드리겠습니다. 이 문서를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은 실상사 삼층석탑 및 실상사 유적지 극락전을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실상사 유적지 백장암 석등 관람 포인트 7가지의 정보가 필요하시면 모두 읽어주세요. 아래의 포스트로 알아봅시다.
실상사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 말사입니다.
행정구역상 남원시에 속하지만 실제로는 경상남도 함양군과도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찰들이 대부분 산중에 세워진 데 반해 남원시 산내면 들판 가운데 위치한 것이 특이하다. 지리산에서 흘러오는 만수천을 끼고 있습니다.
1. 남원 실상사 역사
신라 흥덕왕 3년(828) 지장대사의 제자인 증각대사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그의 고향이었던 지금의 자리에 실상사를 건립하였습니다.
증각은 선종 스님으로 그가 지은 9개 사찰인 구산선종의 첫 번째가 바로 실상사입니다.
흥덕왕은 이 절을 지을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하였고, 왕은 세자 선광과 함께 이 절에 귀의하였습니다.
이 때문인지 증각은 선종의 유행을 일으켰고 실상사도 계속 번성하였다.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쌍탑식 가람을 받아들여 2개의 석탑을 세우게 됩니다.
2. 실상사 극락전
지리산에 위치한 전통사찰 실상사는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 홍척이 처음 지은 절입니다.
당나라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홍척은 풍수지리학적으로 이곳에 절을 짓지 않으면 한국의 정기가 일본으로 넘어간다고 해서 이 절을 지었다고 합니다.
극락전은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다시 지어졌다. 절의 역사를 기록한 자료에 따르면 순조 31년(1831년)에 세워졌다고 합니다.
전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 측면이 인(人)자형 맞배지붕집이며 가운데 칸에는 세 쌍의 문이 달렸고 양쪽에는 한 쌍씩 문이 달렸습니다.
건물 안은 바닥에 마루를 깔고 뒤쪽 높은 기둥 사이에 후불벽을 설치하였으며, 불단 위에는 아미타불이 모셔져 있습니다.
3.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전통사찰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 서쪽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 홍척이 창건하였습니다.
여기서 북쪽으로 어느 정도 가면 백장암이 나옵니다.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그 아래 경작지에 이 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은 다양한 형태의 조각들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구조가 돋보여 당시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석탑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실상사 관세음보살 입상
가늘고 긴 얼굴에 눈이 좌우로 길고 얼굴은 무표정하지만 입술 양쪽 끝을 살짝 들어 미소 짓고 있습니다.
상체는 천의 자락과 영락으로 장식된 반나체로 어깨가 그리 넓지 않고 팔이 길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허리에 군의를 매고 반전된 밑단을 표현하였으며, 두 다리에 3쌍의 옷주름을 간략하게 표현하였습니다.
오른손은 내리고 어깨에서 흘러내리는 천 자락을 살짝 잡고 왼손은 중지와 엄지손가락을 맞대고 살짝 구부렸습니다.
5. 실상사 목조 아미타불상
결가부좌 상태에서 오른손은 시무외인, 왼손은 하품 중생인 아미타불의 수인을 묶고 양 어깨는 그리 넓지 않았습니다.
변형된 통견의 대의에 가슴에는 거의 일자형의 승각기가 보이고 그것을 묶는 나비매듭이 표현되었습니다.
오른쪽 어깨에서 흘러내린 옷자락은 복부 쪽 옷주름 속으로 흘러 들어가고, 양쪽 어깨에서 흘러내린 통견 자락은 크고 깊게 U자로 되어 있습니다.
오른쪽 발목에서 흘러내린 밑단은 4조선, 왼쪽 발목에서 흘러내린 밑단은 3조선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5.1 실상사 백장암 석등
전통사찰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 서쪽 분지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증각대사가 선종 9산 중 실상산문을 열어 창건하였습니다.
절 안 백장암 남쪽 아래에 울타리를 쳐 여러 점의 유물을 보호하고 있는데, 석등은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과 함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팔각형 평면이기 때문에 통일신라시대 석등의 기본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각 부분에 새겨진 세부적인 조각기법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입니다
5.2 실상사 작은학교
전통사찰 실상사 작은학교는 1999년 6월 불교계 대안학교 설립 추진을 논의하였고, 9월 작은 학교 준비팀을 구성하였습니다.
2000년 2월 작은 학교와 함께할 교사를 모집하였으며, 11월 신입생 선발을 위한 학교 설명회를 개최하였습니다.
2000년 12월 예비학교를 통해 1기 12명의 신입생을 선발하여 2001년 3월 4일 실상사 작은 학교로 개교하였습니다.
2002년 12월 교보생명보험 장기지원 대안학교로 선정되어 제9회 김영근 민족교육상도 수상하였습니다.
2004년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지정 문해교육사업자로 선정되어 멀티미디어 시설을 지원받았습니다.
2013년 2월 중학교 제10회(13명), 누나의 제2회(1명) 졸업식을 통해 14명이 졸업하였습니다.
5.3 실상사 맛집
지리산 기슭에 맛집 많을 텐데 제가 봤을 때 여기는 전국에서 제일 맛있는 산채비빔밥집입니다.
작은아이,시험보러가는길에들렸다가또오는길에일부러들려서먹고올정도로맛의조화가있어요.
전통사찰 실상사, 서암정사를 보고 지나가다가 들러 한 끼 식사를 하고 가면 후회 없는 곳이라 생각한다.
손맛이 좋은 곳이라 그런지 다른 음식들도 다 맛있는 것 같아요. 고사리랑 산나물도 판매하고 있는데 제품이 좋을 것 같아요.
지리산 흑돼지. 잡내가 없고 맛있고 반찬도 깔끔합니다. 옥닭 백숙 한 마리도 셋이서 먹으면 충분히 큰 토종닭으로 만들어 준다.
[남원 실상사 맛집] 지리산 둘레길 식당 민박집]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천왕봉로 672 지리산 식당입니다.
5.4 남원 실상사 가는 길
자가용고속도로(12번88고속국도)>’지리산IC'(인월)로 나옴 → 인월에서 산내로 약 10KM(도로표지판에 ‘지리산국립공원 실상사’로 표시됨) →
산내로 들어서면 마천, 백무동 방향으로 살짝 좌회전 → 전통사찰 실상사 500m 앞 실상사휴게소(당구장)
뒷길에서 잠깐 좌회전→약 1km 정도 올라오시면 왼쪽 언덕에 큰 느티나무가 맞이하고 조금만 내려오면 왼쪽에 하환버스정류장이 있습니다.
버스(추천)>동서울터미널에서 지리산고속함양/백무동행 버스승차, 기사님께 실상사 앞에서 내리세요’라고 말하면 끝입니다.
기차 > 남원역 하차/시내버스 또는 택시로 남원버스터미널 도착 인월, 산내행 버스승차(버스에 비해 불편합니다.)
>함께 읽을만한 추천 포스트
– 전통사찰 표충사 유적지 삼층석탑 관람 포인트 6가지
지금까지 전통사찰 및 실상사 유적지 극락전 관람 포인트 7가지를 전달해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게 있다면 아래의 글 남원 실상사 가는 길을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