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찰 신륵사 유적지 조사당 관람 포인트 7가지



전통사찰 신륵사 유적지 조사당 관람 포인트 7가지를 탐구하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신륵사 다층석탑 및 신륵사 유적지 조사당을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신륵사 대장각기비 관람 포인트 7가지가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세요.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남한강변에 있는 절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입니다.

여주(신륵사)

신라 진평왕 때 원효가 창건했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습니다. 절 이름을 신륵이라 한 것은 미륵불입니다.

또는 고려 우왕 때 인근 마암에서 용마가 나타나 행패를 부리자 보제존자 나옹화상이 이상한 굴레를 가지고 그 말을 다스린 설화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1. 여주 신륵사 역사



신륵사에서는 고려의 고승인 나옹이 머물면서 절이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나옹은 1376년 신륵사에서 사망했고 이순신이 이곳에 대장각을 세우고 대장경을 봉안했습니다.

<보물>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

지금은 나온과 나온의 제자인 무학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3] 1379년(우왕 5)에 각신·각주 등이 이 절을 크게 짓고 나옹 부도를 지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1440년(세종 22) 중수하였고, [1] 1473년(성종 4) 세종의 능인 영릉을 여주로 이장하였으며, 영릉의 원찰로 신륵사가 지정되었습니다.

이때 나라에서 확장하여 크게 중수되었고 절명은 보은사로 바뀌었다. 1671년(현종 12)에는 계헌, 1702년(숙종 28)에는 위학·천심 등이 중수하였습니다.

2. 신륵사 조사당



전통사찰 신륵사는 봉미산 자락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로 원래 신라시대에 지어졌다고 하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습니다.

[보물 180호] 신륵사 조사당

조사당은 절에서 덕이 높은 승려의 초상화를 모신 건물로 신륵사 조사당에는 불단 뒷벽 중앙에 지공을, 그 좌우에는 무학과 나옹대사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조선 전기 예종 때 세운 것으로 보이며 낮은 기단 위에 앞면 1칸·옆면 2칸으로 세웠다. 지붕은 측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의 팔작지붕입니다.

3. 신륵사 다층석탑



전통사찰 신륵사 극락보전 앞에 있는 탑으로 기단을 2단으로 쌓은 뒤 그 위에 여러 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입니다.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보물 225호), 대리석으로 만든 조선시대 석탑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분의 세부 조형방법은 전혀 다르며 기단부터 탑신부까지 모두 1장씩의 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부분 아래 괴임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석탑양식을 일부 남겼지만 세부적인 조각양식 등에서 고려양식에서 벗어나려는 다양한 표현들이 눈에 뜁니다.

4.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신륵사 뒤편에 모셔져 있는 나옹 사리탑으로 넓게 마련된 단층 기단 위에 2단의 대좌를 올려놓은 뒤 종 모양의 탑신을 얹은 모습입니다.

아름다운 문화재..

기단은 돌을 쌓아 넓게 하고 앞쪽과 양쪽에 계단을 두었다. 톱씬은 아무 장식도 없어요.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불꽃무늬를 새긴 커다란 보주(연봉오리 모양의 장식)가 솟아 있습니다.

고려 우왕 5년에 세운 것으로 나온이 양주 회암사 주지로 있다가 왕의 명으로 밀양으로 가던 중 신륵사에서 입적하자 그 제자들이 절 뒤에 터를 잡고 이 탑을 세웠습니다. 

5. 신륵사 대장각기비



전통사찰 신륵사에 세워져 있는 비로 극락보전 서쪽 언덕에 있던 대장각(불상을 만들어 보관하던 곳) 조성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보물>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

길쭉한 사각형의 바닥돌 위에 받침돌을 놓고 그 위에 비신을 세운 뒤 지붕돌을 얹은 모습으로 비신 양쪽에 돌기둥을 세워 비신을 단단하게 받치도록 하였습니다.

이렇게 비신 양쪽에 돌기둥을 세우는 형식은 고려 후기에 와서 보이는 현상으로 주목받는 부분입니다.

권주자로 새긴 비문은 비체가 크게 파손되어 전체 내용을 파악할 수 없다. 비문 뒷면에는 불경을 만들고 비석을 세우는 데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습니다.

5.1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신륵사 서북쪽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팔각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이 있고, 위에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이 얹혀 있습니다.

여주 여행 (3) : 봉미산 품에 안겨 여강을 굽어보는 신륵사

받침에는 표면 전체에 꽃무늬를 가득 새겨 장식하였다. 화사석은 각 면에 무지개 모양의 창문을 내줍니다.

나머지 공간에 비천상과 구렁이를 조각했다. 지붕돌은 두껍지만 여덟 귀퉁이에서 낚아 올리는 것이 경쾌하고 무게를 줄여줍니다.

고려 우왕 5년(1379) 보제존자 석종 및 비석과 함께 세운 작품으로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유물로 고려 후기의 대표적 양식을 보여줍니다.

5.2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보살상 보관과 대좌 후보된 것을 제외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합니다.

[슬지네가 소개하는 여주 역사관광지] 신륵사를 소개합니다 :-)

주존불상을 좌상으로 하고 협시상을 입상으로 한 구성은 고려시대부터 내려온 전통으로 불상과 보살상은 모두 상호와 상반신이 긴 편입니다.,

특히 불상 육계는 유난히 길게 조성되어 독특한 느낌을 줍니다. 불상의 큰 자개와 단순 처리한 법의 자락은 조선 초기부터 이어져 온 특징입니다.

5.3 신륵사 맛집



전통사찰 여주 신륵사 맛집 우준 아빠 하누야. 한우 고기 생각날 때는 여기에 들러보세요.

[우준아빠의하누야] 프리미엄아울렛근처맛집추천/여주한우전문음식점추천/여주신륵사맛집추천

유명인사들도 많이 찾는다는 여주 신륵사 맛집 우준아빠 한누야 다녀왔어요 연예인들이 사인해준 것만으로도 한쪽 벽을 채우고 있어요~

우준 아빠 하누야는 한우 셀프 음식점입니다~ 매장에 들어가시면 정육코너가 있습니다. 옆에는 간식을 판매하는 매점도 함께 있습니다.

여주신륵사맛집!! 우준아빠의하누야 다녀왔어용^0^

정육코너에서 드시고 싶은 고기 고르시고 테이블로 오세요~ 한우 셀프 음식점인데 세팅비가 따로 없어서 너무 좋아요! 안그래도 고기값이 싸니까 더 싸게 먹을 수 있어요.

여주맛집 우준아빠 하누야, 경기 여주군 여주읍 교리 211번지, 031-881-66

5.4 여주 신륵사 가는 길



전통사찰 신륵사 가는 길 자가용 이용 시 > 여주IC → 터미널사거리 → 여주대교 → 일성콘도앞 우회전 → 신륵사관광지 진입 → 여주박물관

정찬주의 茶人기행

대중교통 이용시 > 버스노선도> 여주역버스(130, 911-1, 911-5,995) → 신륵사 하차→ 도보 3분 → 여주박물관

버스(971,971-1,971-2,971-3)→신륵사 사거리 하차→도보 5분→여주박물관

여주종합터미널>버스(981,987-2,988-2,989-3,991,992 등)→신륵사 하차→도보3분→여주박물관

<font size="2">깨뜨려라 삿된 생각을, 성찰하라.. 여주 파사성-신륵사</font>

버스(983-1) → 신륵사 사거리 하차 → 도보 5분 → 여주박물관 ※ 버스노선 및 자세한 시간표는 버스노선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주차안내> 승용차 여주박물관 주차장 이용(일반 13대, 장애인 2대) ※ 만차시 여주박물관 행사광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같이 읽을만한 좋은 글

– 전통사찰 직지사 유적지 사명대사 관람 포인트 7가지

– 전통사찰 고운사 유적지 가운루 관람 포인트 9가지

– 전통사찰 마곡사 유적지 대웅보전 관람 포인트 9가지

오늘은 전통사찰 및 신륵사 유적지 조사당 관람 포인트 7가지를 전달해보았습니다. 다른 정보도 필요하시다면 아래의 글신륵사 가는 길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