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찰 선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



전통사찰 선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트를 모두 읽고 나면 선운사 마애부블 및 선운사 도솔암을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선운사 만세루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가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선운사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고창군에 위치한 명승 고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입니다.

**고창 선운사**

​백제 위덕왕 24년(577) 검단선사와 신라 국사인 의운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조선 정조 18년(1794) 임우상이 기술한 선운사 사적기에 따르면 신라 진흥왕이 왕위를 버리고 이곳에 와서 선운사를 창건했다고 합니다.

​1. 선운사 역사



​선운사는 한때 89암 24굴 189가마를 갖춘 대찰로 억불숭유정책을 펼쳤던 조선시대에도 성종의 어실이 있을 정도로 번성했습니다.

선운사, 고창 청보리밭

​태종 때 사찰 폐쇄령에도 불구하고 국태민안을 기원하기 위해 보존된 큰 절이었습니다. 금동보살좌상·지장보살좌상·

​선운사 대웅전·참당암 대웅전·도송암 마애불 등의 보물, 동백림·장사송·송악 등의 천연기념물이 있습니다.

2016년 3월26일 전북 고창 선운사 여행일지

​석씨원류경판·영산전 목조삼존불상·육층석탑·범종·약사여래불상·만세루백파율사비·참당암 동종·

​선운사 사적기 등 보물 5점, 천연기념물 3점, 기타 지방문화재 등 총 19점의 지정문화재가 있습니다.

​2. 선운사 마애불



​전통사찰 선운사 도솔암으로 올라가는 길 옆 절벽에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으로 머리 둘레를 깊이 파고 들어갔습니다.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머리 부분에서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점차 두껍게 새겨지며 평판이 좋고 네모난 얼굴은 다소 딱딱합니다.

​눈꼬리가 치켜 올라간 가느다란 눈과 우뚝 솟은 코, 곧게 드러낸 입술 등으로 얼굴 전체에 파격적인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이 불상은 고려 초기의 거대한 마애불계 불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가슴 복장에서 동학농민전쟁 때의 비밀기록을 발견한 사실에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3. 선운사 도솔암



​선운사는 도솔암을 비롯한 4개의 암자를 포함한 사찰입니다. 도솔암 내원궁은 험준한 바위 위에 세워진 법당입니다.

고창 선운사 도솔암과 청보리밭을 보고 왔습니다.

​상도송암이라 불리다가 조선 중종 6년(1511년), 숙종 20년(1694년), 순조 17년(1817년)에 중건하였습니다.

​이 건물은 거대한 바위 위에 세워졌기 때문에 기단이 없는 평평한 곳에 위치하고 원형의 초석만 놓고 있습니다.

​지붕은 측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입니다. 기둥은 둥근 기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창 삼인리 선운사 도솔암 꽃무릇 풍천장어 복분자

​벽선에 아자 모양의 두 쌍의 여닫이문을 설치하였는데, 가운데 칸과 양쪽 사이는 그 간격을 바꾸어 예불 공간을 크게 만들었습니다.

​천장의 구조는 정(井)자 모양으로 천장 안을 덮고 있는 우물천장으로 지장보살좌상(보물 제280호)이 모셔져 있습니다.

​4. 선운사 만세루



​고창 선운사 만세루는 선운사에 전해지는 대양루열기(1686년), 만세루 중수기(1760년)에 따르면 1620년(광해군 12년)에 대양루로 세워졌습니다.

고창 선운사 만세루 보물 지정 예고

​그러나 화재로 소실된 것을 1752년(영조 28)에 중건한 것으로 정면 9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계 단층집입니다.

​처음에는 중층누각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재건되면서 지금과 같은 단층 건물로 바뀌었다고 전해집니다.

고창군, '고창 선운사 만세루' 국가보물 지정 예고

​이는 누각을 불전의 연장 공간으로 삼으려는 조선 후기 사찰 공간의 변화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세루는 변화하는 불교 전통사찰의 시대적 흐름을 적절히 반영한 누각 건물의 예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5. 선운사 지장보살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은 신라 진흥왕대에 창건하여 광해군 5년(1613년)에 재건한 불상으로 청동 표면에 도금한 것입니다.

지장보살展 보세요

​머리에 두건을 쓰고 있고, 이마에 감은 굵은 띠는 귀를 가리고 배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선운사 도솔암에 있는 선운사 지장보살좌상(보물)과 같은 두건을 쓴 모습의 불상입니다.

​네모나고 원만한 얼굴, 형식적이고 수평적인 옷주름 처리 등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보살상으로 추정됩니다.

​5.1 선운사 동백꽃



​누구보다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꽃말을 가진 동백나무는 나무 위에서 붉은 꽃망울을 터뜨립니다.꽃망울이 땅에 통째로 떨어져 마치 땅 위에 핀 것처럼 땅에서 두 번째 꽃을 선물합니다.

[천안역] 4/27(금) 고창 청보리밭 축제 & 선운사 동백꽃 기차여행(중식/석식포함)

​선운사 대웅전 뒤뜰에는 수령 500여 년의 동백꽃 3000여 그루가 병풍처럼 둘러쳐 장관을 연출합니다.

​이곳처럼 동백나무가 하나의 아름다운 숲으로 남아 있는 것은 드물고 천연기념물 184호로 지정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습니다.

​전통사찰 선운사 동백나무는 사찰 창건 당시 화재로부터 사찰을 보호하기 위해 식재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5.2 선운사 등산코스



​전통사찰 선운사 >코스 : 관광안내소 ~ 도솔암 ~ 용문굴 ~ 천마봉 (왕복 3시간) >코스 : 관광안내소 ~ 마이재 ~ 소리재 ~ 천마봉 (왕복 5시간)

[블랙야크 100대 명산 등산 계획] 고창 선운산 최단 코스 (선운산공원 공영주차장 → 수리봉)

​>코스 : 관광안내소 ~ 마이재 ~ 경수봉 ~ 천마봉 ( 왕복 8시간), >코스 : 관광안내소 ~ 도솔재 ~ 쥐바위 ~ 낙조대 (왕복 10시간)

​>-추천등산코스 : 관광안내소 ~ 마이재 ~ 소리재 ~ 천마봉 ~ 도솔암 ~ 주차장 (소요시간 4시간 30분)선운사 입장료 및 주차정보, 선운사 주차장 : 무료.

선운사 입장료 : 성인 4,000원/ 청소년(중.고등학생) 3,000원/ 어린이(초등학생) 1,000원, 선운사 입장료 무료 : 만 70세 이상, 고창군민, 신도증 소지자, 복지카드, 국가유공자

5.3 선운사 맛집



​>고창선운사 청림정금자할매집 생활의달인 장어맛집, 영업시간 매일 10:00-19:00, 전화번호 063-564-1406, 주소 전북 고창군 아산면 인천강서길 12

고창 맛집 영양가득한 청림정금자할매집 그리고 수궁회관

​브레이크타임 없음, 주차가능,남도의향기 스마트스토어에서 인터넷 주문가능, 청림청금자할매집은 선운사에서 약 2킬로미터 정도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고창 선운산 선운사에 들러 이곳 청림천금자 할매집은 풍천장어 맛집으로 알려진 오래된 식당입니다.

선운사를 벗어나면, 굉장히 많은 장어 가게가 있어서 거기서 떨어져서 영업을 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4 선운사 가는 길



​네비게이션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063-561-1422) [주차장 / 유료]

빠른 선운사 가는길

대중교통 – 3,7,9호선 고속터미널역 2번,8번출구를 나와 센트럴터미널 10번홈에서 고창행 버스 승차 합니다.

고창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선운사행 버스(직행 4회, 군내버스 24회, 1시간 간격)이용 하차 합니다.(센트럴시티-고창시외버스시간표 / 고창시외버스터미널-선운사행 버스시간표 하단 참조하세요.

>유용한 포스트

전통사찰 화엄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

전통사찰 해인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

전통사찰 금산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6가지

지금까지 전통사찰 및 선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를 공유해드렸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게 있다면 아래의 글 선운사 가는 길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