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사찰 범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를 탐구해보겠습니다. 이 내용을 읽어주신 분들은 역사사찰 및 범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를 이해하시게 될 겁니다. 역사사찰 및 범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의 지식이 필요하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전부 알려드리겠습니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입니다.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고찰이자 해인사, 통도사와 함께 영남 3대 사찰로 부산 도시 철도 1호선 범어사역의 역명이 여기서 유래되었습니다.
현재 보물 제434호로 지정된 대웅전과 3층 석탑(보물 250호), 당간지주, 일주문, 석등, 동서 3층 석탑 등의 지방문화재가 있습니다.
1. 범어사 역사
창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삼국유사 678년(문무왕 18년) 의상이 창건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금빛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하여 금정산이라 이름 붙여졌습니다.
그곳에 전통사찰을 짓고 범어사를 건립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범어라고도 합니다.
창건 설화에서 물고기가 등장하는 만큼 물고기 물고기를 사용한 ‘범어’가 올바른 표기입니다.
2. 범어사 대웅전
경상남도 3대 사찰 중 하나로 유명한 범어사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통일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처음 지었다고 합니다.
또한 옛날 일본인이 침입했을 때에는 이곳 승려들이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함께 싸우기도 했던 중요한 장소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1993년 문화재연구소 정밀실측에서 대웅전 종거리 묵서명에서 효종 9년(1658) 상동식이 거행된 것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이로써 대웅전이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1602년 당시 현감이 임시 복구하여 1658년 효종 9년에 중수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처마기와의 명문과 기단 각각의 목부재 기록 등으로 보아 현재 대웅전은 17세기에 중건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3. 범어사 삼층석탑
전통사찰 범어사 삼층석탑은 이중 기단 위에 삼층 탑신을 갖춘 부산지역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기단부의 안상표현에서 다른 탑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범어사에 전해지는 기록으로는 675년(문무왕 15)에 건립되었다고 하는데,
그대로 믿기 어렵고 옥개대나 기단의 안상 등으로 보아 건립연대는 범어사와 같은 830년(흥덕왕 5)경으로 보는 것이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범어사 삼층석탑은 부산 범어사 대웅전과 보제루 사이의 안뜰에 세워져 있는데, 중심축에서는 떨어져 동쪽 비로전을 향해 서 있습니다.
4. 범어사 성보박물관
1400년 역사의 금정총림 범어사 성보박물관은 2003년 관장 경선스님을 초청하여 개관하였습니다.
조선 후기 불화 70여 점 및 40여 점의 진영, 그리고 1000여 종의 전적과 본판 16종, 현판, 23종을 비롯하여 3만 점에 이르는 다양한 불교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는 불교전문박물관입니다.
지정문화재는 100점 이상 소장하고 있으며, 이는 부산시 문화재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소장문화재로는 14세기 본삼국유사가 있으며 원효대사, 의상대사 진영과 전국 최대 규모의 사천왕도가 있습니다.
5.범어사 조계문
경상남도 3대 사찰 중 하나로 유명한 범어사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통일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처음 지었다고 합니다.
또한 옛날 일본인들이 침입했을 때에는 이곳 승려들이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함께 싸운 적도 있었던 곳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부산 범어사 조계문은 사찰 일주문이 가진 기능적인 건물로서의 가치와 함께 모든 구성 부재의,적절한 배치와 결구에 의한 구조적 합리성 입니다.
시각적으로 안정된 조형 및 의장성을 돋보이게 하고 한국 전통 건축의 구조미를 잘 표현하여 한국의 일주문 중 걸작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5.1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이 삼존좌상은 범어사 대웅전의 주불로 개금시 복장에서 발견된 불상기문과 불상기인발원축을 통해 석가불과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의 수기삼존불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순치 18년(조선 현종 2년, 1661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연대와 우두희장을 비롯한 보해, 경신, 쌍묵, 뇌영, 신학, 청언 등이 조각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범어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불상기문을 통해 정확한 존상 명칭은 물론 조성 시기와 조각가 그룹을 알 수 있는 불상으로는 매우 완성도 높은 우수한 작품입니다.
5.2 범어사본
고려일연 스님이 1281년(충렬왕 7년) 편찬한 한국 고대사 연구의 보고 삼국유사가 역대 네 번째로 국보로 지정됩니다.
현존하는 가장 빠른 판본인 1394년 판본 중 서랍 시기가 가장 빠른 자료로서 상태도 가장 양호하여 서지학적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삼국유사는 원래 총 5권이지만 범어사본은 4~5권뿐입니다. 그러나 기존 지정본에서 누락된 28~30장을 보완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입니다.
1512년(중종 7년) 간행본의 오탈자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사찰의 역사·학술적 중요성이 높습니다.
5.3 범어사 맛집
오늘은 부모님, 할머니, 할아버지 모시고 가면 너무 좋을 것 같은 범어사 근처 구서동 맛집 한정식집을 소개해 드릴게요.
한번 어른들과 방문하시면 후회없이 모두가 만족하실 수 있는 금정 한정식입니다. >금정 한정식, 전화번호 : 051-516-1877, 영업시간 : 매일 11:00-21:00 주차장: 매장앞주차장O,단체석O,
금정 한정식은 범어사에 가서 들르기 좋은 위치입니다. 구서동에 위치하는데 범어사에서는 차로 5분정도 걸립니다.
구 서선경아파트 3차 근처에 위치하며 지하철역에서 내리시면 금정구 3번 마을버스를 타고 약수터 선경3차 후문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
5.4 범어사 가는 길
전통사찰 범어사 가는 기의 가장 좋은 방법은 범어사역 5번과 7번 출구 사이에 있는 골목으로 쭉 들어가시면 나옵니다.
범어사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부산버스 90타. 148번, 29번, 51번, 131번, 80번, 49번, 300번, 301번도 범어사 입구에 도달합니다.
이 버스들을 이용하여 90번으로 갈아탈 수도 있고, 노포역까지 올라가서 광역환승센터에서 90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범어사로를 따라 차를 몰거나 택시로 간다면 상행과 하행이 나뉘는 일방통행이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018년 12월 7일부터 하행은 모두 통행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문서
이상으로 역사사찰 및 범어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다른 정보도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 범어사 가는 길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