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사찰 동화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9가지



역사사찰 및 동화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9가지를 공유하겠습니다. 이 포스트를 전체적으로 읽어주신 분들은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및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이해하게 되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화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9가지의 지식이 필요하다면 모두 읽어주세요.



​동화사는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절이다. 대한불교조계종 경북 5대 본산 중 하나이자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입니다.

영천 은해사.대구 동화사에 다녀왔시요~~

​1992년 만들어진 세계 최대 석조 약사여래불인 전통사찰 동화사 통일약사여래대불도 유명하다. 높이가 33m에 달합니다.

​동화사의 구리는 오동나무 ‘구리’자이고 꽃은 빛나다, 화려하다, 꽃’이라는 뜻이 있기 때문에 오동나무꽃이 아름다운 절이라는 뜻입니다.

​1. 동화사 역사



​493년(신라 총사 마립간 15년) 극달 스님이 지은 유가사[2]를 832년(흥덕왕 7년) 심지왕사가 중건하였습니다.

대구동화사

​이때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 꽃이 만발하여 동화사라 개칭하였다고 전한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경내에는 1732년에 여덟 번째로 재건된 대웅전, 극락전을 비롯하여 연경전, 천태각 등 20여 채의 대규모 건물이 있습니다.

​그 밖에 당간지주 등 문화재가 있습니다. 1992년에는 30m 높이의 석불인 약사대불이 조성되었는데, 이는 남북통일을 기원하기 위해 조성된 석불입니다.

​2.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는 이 마애불은 조각기법이 부드럽고 섬세하며 보존상태도 양호합니다.

일상탈출 짧은 여행 60 ( 제자와 여행 1 - 대구 김광석 거리- 동화사)

​머리와 상반신은 눈에 띄게 새겨져 있지만, 받침대와 광키는 얕게 부각되어 있습니다. 맨머리의 머리 위에 고기)는 표현되어 있지 않습니다.

​턱을 군살처럼 표현하여 얼굴은 비만이지만 이목구비가 단정하고 중후한 인상을 줍니다.

​형식적으로 새긴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어깨는 곧습니다. 그러나 몸에는 힘이 빠져 8세기 불상으로 보였던 생동감은 감소했습니다.

​3.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와 사촌간 왕사심지가 863년(경문왕 3) 비로암 창건과 동시에 봉안한 불상입니다.

[국내여행정보] 대구 팔공산 동화사에서 느끼는 여유와 고풍

​호분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춘 완전한 불상으로 중후하면서도 안정적인 구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둥근 얼굴, 작은 백호, 부드러운 곡선의 눈썹, 곧은 눈, 평범한 작은 코와 입, 단순하고 간명한 귀 등 단정한 상호를 이루고 있습니다.

동화사의 보물 6점

​마치 조용한 선의 세계로 빠져든 선사의 모습을 보는 것 같습니다. 얼굴의 특징은 신체에도 그대로 그려져 있습니다.

​좁아진 어깨와 양감 없는 단정한 체구, 지권인을 만드는 양손의 안정된 자세 등은 생동감이나 긴장감 등을 찾을 수 없습니다.

​4.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



​대구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는 치성광여래삼존도 1폭과 칠성여래를 각 폭으로 나누어 그린 7폭 등 총 8폭으로 구성된 그림입니다.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주종 1250주년 기념 종소리 첫 공개

​치성광여래삼존도 하단화기를 통해 1876년(광서2) 팔공산동화사 내원암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된,

​칠성도로 수화승·수룡당대전을 비롯한 의관·보화·관행 등이 참여하여 그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수룡당 대전은 19세기 전통사찰 해인사를 중심으로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기전과 동일 인물이다.

CPN문화재TV - 대구시, ‘지장보살본원경’ 등 3건 시 유형문화재 지정

​이 칠성도는 인물표현과 장식 등의 묘사가 특히 돋보이며 현존하는 칠성도 중 치성광여래와 칠성여래를 각 폭으로 나누어 그린 각부 도형식 칠성도가 많지 않은 점,

​19세기에 성행했던 칠성 및 염불신앙, 그리고 수룡당기전의 초기 화풍과 도상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학술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5.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동화사 서쪽 언덕에 위치한 비로암 대적광전 앞마당에 세워져 있는 3층 석탑으로 2단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세운 모습입니다.

석탑의 종류와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기단의 각 층에는 사면마다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 모양의 조각이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의 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뜬 조각이 놓여 있습니다.

​1966년 부처의 사리를 담는 기구 중 일부가 도난당했지만 사라지지 않은 사리석기에 통일신라경문왕 3년(863)에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이 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중요한 자료입니다.

​5.1 동화사 당간지주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는 당(唐)이라는 깃발을 달아놓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이라고 하고, 장대를 양쪽에서 받치는 두 개의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합니다.

대구 팔공산 동화사 갓바위

​전통사찰 당간을 받치던 석재가 없어져 전체 모양에 경쾌한 맛은 없지만 견실하고 장중한 느낌을 줍니다.

​이 지주가 만들어진 시기는 당간지주로부터 둔중함을 알 수 있으며 동화사 창건 시기가 신라 흥덕왕 7년(832)인 것을 감안하면 신라 후기로 추정됩니다.

​5.2 동화사 금괴



​대구 동화사 대웅전(보물 1563호) 뒷마당에 수 십 십억원 상당의 금괴가 묻혀 있다는 주장으로 한때 지역사회에서 소동이 벌어졌지만 이후 결과는 어땠을까?

한국전쟁때 동화사 뒤뜰에 금괴 40㎏ 묻었다?

​결론은 3년이 지난 지금까지 발굴은 물론 확인조차 되지 않았고 문화재청 발굴과 관련한 조건부 가결이 무산되면서 한순간의 해프닝으로 일단락됐습니다.

​동화사 금괴 소동은 2008년 12월 탈북한 탈북자 김모 씨(45)가 동화사 대웅전 뒷마당에 금괴 40kg이 묻혀 있다며 시작되었습니다.

5.3 동화사 맛집



​올해로 20년 동안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을 정도로 사랑받는 탑골식당에 식사하고 왔습니다.

팔공산맛집 탑골식당에서 1박2일!

​사장님이 요리연구가로 친정에서 농사를 지어 가지고 오는 신선한 식재료 덕분에 건강한 음식이 남다른 곳입니다.

​팔공산 한정식 맛집이기도 하며 창가에 앉아 자연을 바라보며 코스요리로 힐링이 된 팔공산 탑골식당을 소개해 봅니다.

팔공산 한정식, 팔공산 바베큐가 맛있는 @탑골식당

​식당의 규모는 2,3,4층까지 있으며 특히 3층과 4층은 대략 200명까지 수용 가능하여 단체모임에도 적합합니다.

​그에 맞는 넓은 주차장도 있으니 편하게 오세요.메뉴는 시래기와 바베큐를 의미하는데,떡갈나무로 구워내는 바비큐가 일품인 한정식 코스입니다.

​탑골식당>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2길 21-7 매일 11:30 ~ 21:00(매주 월요일 휴무) Break time 16:40 ~ 17:40

​5.3 동화사 가는 길



​전통사찰 동화사 가는 길 급행 1번, 팔공 1번(동화사행)의 종점이며 [9] 주말, 공휴일 한정으로 팔공 3번이 경유합니다.

명봉산 동화사

​그러나 동화사행 팔공 1번은 10회밖에 들어오지 않았고 팔공 3번은 말 그대로 주말, 공휴일인데다 11월부터 2월까지는 운행하지 않아 이용하는 노선은 사실상 급행 1번뿐입니다.

​이 때문에 급행 1번은 동화사를 찾는 승객과 등산객 등으로 인해 급행 노선은 물론 다른 노선과 비교해도 수요가 상당히 많아 탑승할 때마다 곤란합니다.

​게다가 행사 기간에는 감차가 아닌 오히려 증차가 되는 매우 드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포스트

역사사찰 상원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8가지

역사사찰 장곡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7가지

역사사찰 및 운문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6가지

오늘은 역사사찰 및 동화사 유적지 관람 포인트 9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아래의 글 동화사 가는 길을 참고하십시오.